현재 2025년까지도 개정 되지 않은 악법
댓글
0
06.24 11:07
작성자 :
드가쥬아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 제46조 제2항
“혼인 외의 출생자는 모(母)가 신고하여야 한다.”
즉, 혼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아이를 낳았을 경우,
그 아이의 출생신고는 반드시 ‘엄마’만 할 수 있다는 것.
‘아빠’는 엄마 없이는 못 한다.
그러다 생긴 기형적 현상
오히려 베이비박스에 아이를 유기하면 아이는 ‘무연고’ 신분으로 보호 기관에 등록
곧장 임시 주민번호 부여 + 출생신고 처리됨
즉, 직접 키우려는 생부는 못 신고하고,
버리면 출생신고가 된다.
(왜 이런 법이 생겼는가에 대한 배경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친자 확인은 기술적으로 복잡한 과정이다. 아이의 어머니는 출산 과정 자체로 자연스럽게 부모로 확정되지만 아버지는 말만 가지고는 친부라고 확정할 수 없다. 결국 법은 생물학적 근거가 필요하다고 보고 혼인 외 자녀의 경우 아버지 단독 신고를 인정하지 않게 되었다.
둘째 법은 허위 출생신고나 가족관계 혼란을 막기 위한 안전장치를 마련하려 했다. 그래서 친모의 동의나 확인 없이는 출생신고가 어렵도록 설계되었다. 하지만 이 과정이 너무 복잡하고 엄격해 정작 아이를 키우려는 사람보다 아이를 버리는 사람이 더 쉽게 출생신고를 하게 되는 이상한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드가쥬아님의 최신 글
- 08.25 19 ) 벗방 시작한 강인경
- 08.24 2차 소비쿠폰 예산 비상…허리띠 졸라매고 지방채 발행
- 08.24 유부남들이 화장실 가면 안나오는 이유를 물어 본 와이프
- 08.24 65세 이상 취업자 "실업급여" 지급 검토
- 08.24 누가 내가 산 주식을 무시할 때 대처법
- 08.24 변사 현장서 "사망자 착용" 금목걸이 훔친 범인 검거됨
- 08.24 우리나라 10억 초과 코인 부자들의 실체
- 08.24 대량생산 도자기에 무늬 새기는 법 ㅗㅜㅑ
- 08.24 급여 달라니까 월세 계약서 보내라는 편의점 사장
- 08.24 제조업 수출액 한국이 일본을 추월 세계 4위 등극